Basic 27

[Database]MySQL 데이터 이관(Export, Import)

회사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를 옮겨야해서 옮겨보았다. 이를 까먹기 전에 블로그에 적어보려 한다. 1. DB접속 후 Data Export하기 Administration에서 Data Export 클릭 이관하고싶은 Table을 왼쪽에서 고르고 오른쪽에서 Column을 선택 백업 셋팅 Export 완료 2. Data Import 하기 Administration에서 Data Import/Restore클릭 데이터 복원 타입 설정 Import 완료 확인 3. 마무리 : 데이터가 잘 옮겨졌다. 하나 또 배워간다.

Basic/Database 2023.11.04

[코딩기초]Facade Pattern

1. Facade Pattern? : Facade란 '건물의 정면'을 의미하는 단어로 소프트웨어의 커다란 코드 부분에 대하여 간락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디자인 패턴이다. 퍼사드 객체는 복잡한 소프트웨어 바깥쪽의 코드가 라이브러리의 안쪽 코드에 의존하는 일을 감소시켜주고,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게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준다. 2. Facade Pattern을 사용하게 된 이유? : 위의 Facade Pattern에 대해 설명했다시피 코드를 작성하는데 Service에서 Repository를 많이 의존하는 것이 컸기 때문에 사용하게 되었다. 의존성이 커지면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어려울 것이고, 응집도가 낮은 클래스가 된다. 이에 Facade Pattern를 사용해 보자고 결심하게 되었다. 3..

Basic/코딩기초 2023.09.22

[GitHub] Github 코드리뷰 알람 문제

Github에서 코드리뷰를 하는데 팀원들의 글은 JANDI에 알람이 오는데 내가 답변을 달았는데 확인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내 코멘트에는 Pending으로 표시되어 있고 나만 볼 수 있어서 검색해보니 Submit을 하지 않으면 review에 반영이 되지 않아서 그렇게 보인 것이다. 여기서 single comment -> 바로 알림이 감 start a review -> review changes를 한 이후에 알림이 한번에 감 이라고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나는 start a review 로 해서 submit을 안했기 때문에 submit을 해야 리뷰가 제출되는것이라 그 동안 작성했던 리뷰가 한번에 등록되었다.

Basic/Git 2023.08.09

[코딩기초] nGrinder를 이용한 부하 테스트

내가 만든 게시판 서비스가 부하를 얼마나 버티는지 확인하고 싶어서 검색해보니 많은 테스트툴이 있었다. (nGrinder, Apache JMeter, Locust 등....) =>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선 3가지 기능을 지원하는게 좋다. 1. 시나리오 기반의 테스트가 가능해야 한다. 2. 동시 접속자 수, 요청간격, 최대 Throughput 등 부하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3. 부하 테스트 서버 스케일 아웃을 지원하는 등 충분한 부하를 줄 수 있어야 한다. 나는 nGrinder를 통해 테스트를 진행하려 한다. nGrinder를 선탁한 이유는 위의 3가지 기능을 제공하고, 한글을 지원, Groovy문법 지원을 해 사용하기 편리하기 때문이다. 🟡 테스트 종류 : 스트레스 테스트(StressTest), 부하..

Basic/코딩기초 2023.07.22

[코딩기초] 무한스크롤 VS 페이지네이션

프로젝트 회의 할 때 우리 팀은 페이지네이션을 안 하고 무한스크롤을 사용한다고 해서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궁금해서 공부해 봤다. 우리 팀은 안드로이드 배포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금요일 전체 회의 때 한번 물어봐야겠다. 1. 무한스크롤(Infinite Scroll)? : 무한 스크롤은 사용자가 페이지 하단에 도달했을 때, 콘텐츠가 계속 로드되는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방식이다. 무한 스크롤은 Unsplash 등 이미지 스톡 사이트처럼 무거운 이미지 중심의 웹사이트나 모바일 환경에서 많이 사용된다고 한다. (생각해 보면 우리 프로젝트는 안드로이드 배포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서 무한스크롤을 사용하지 않나.. 싶다!) 2. 무한스크롤의 장, 단점? 무한 스크롤의 장점 사용자 참여 및 콘..

Basic/코딩기초 2023.07.18

[코딩기초] 온프레미스(On-Premise) VS 클라우드(Cloud)

1. 온프레미스(On-premise)? : 온프레미스(On-premise)는 IT 서비스를 운영하는 회사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공간에 물리적으로 하드웨어 장비를 가지고 직접 운영하는 방식이다. 온프레미스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 일반적인 기업이 사용하던 일반적인 인프라 구축 방식이다. 온프레미스 방식은 현대에 정의되고 사용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이전 방식이기 때문에 인프라 구축하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통용되기도 한다.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입하여, 시스템 구성 상황에 맞게 환경을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서버실 혹은 데이터 센터와 같이 특정 공간에 IT인트라를 구축하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법은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기간이 필요하며, ..

Basic/코딩기초 2023.06.17

[SQL] PostgreSQL VS MySQL

연락받은 회사가 PostgreSQL을 사용한다고 해서 내가 사용하는 MySQL이랑 뭐가 다른지 궁금해서 찾아보며 공부해 봤다. (역시 정리가 잘되어있는 블로그들이 많다👍👍👍 감사합니당😀) 1. PostgreSQL과 MySQL의 주된 차이점 PostgreSQL은 복잡한 쿼리와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수 있는 기능이 풍부한 데이터베이스이다. MySQL은 설치와 관리가 비교적 쉽고, 빠르고, 신뢰할 수 있고,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간단한 데이터베이스이다. PostgreSql은 테이블 상속, 함수 오버로딩 등의 기능을 갖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ORDMBS)인 반면, MySQL은 순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이다. 대부분 개발자는 MySQL의 경우 웹사이트와 온라인 트랜잭션에 적합하고 PostgreSQ..

Basic/Database 2023.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