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 27

[Cloud] Cloud?

1. DOCKER의 특징, 장점과 단점? DOCKER의 특징 컨테이너 기반의 가항화 플랫폼이다. 가볍고 빠르게 생성 및 삭제할 수 있다. 다양한 운영체제와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다. 수평 확장이 용이하며, 여러 대의 서버에서 동시에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있다. DOCKER의 장점 이식성 : 애플리케이션과 해당 종속성을 패키징하여 컨테이너로 만든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은 어디에서든 실행할 수 있으며, 호스트 시스템의 구성과 관계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된다. 격리성 : 컨테이너 가상화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격리시킨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호스트 시스템과 분리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효율성 : 가상화를 사용하기 때..

Basic/코딩기초 2023.03.23

[HTTP] HTTP기초

1. REST API란? 웹 서비스에서 자원을 표현하고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RESTful 웹서비스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한다. RESTful 웹 서비스는 HTTP를 사용하며, 주요 HTTP 메서드 (GET, POST, PUT, DELETE)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호작용을 처리한다. RESTful 웹 서비스는 빠르고 확장 가능하며, 서로 다른 언어와 플랫폼 간의 통합이 쉽다.

Basic/코딩기초 2023.03.22

[코딩기초] 자바?

부트캠프 초에 배워서 정리한거보다 조금 더 깊이 들어가서 특징이나 장, 단점을 정리하려고 한다. 1. 자바의 특징, 장단점 자바의 특징 : 자바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가 존재해 생산성이 높은 언어, 자바는 멀티쓰레드를 지원하고 안정성이 높다. 자바의 장점 객체 지향 설계와 개발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와 확장이 용이하다. 대용량, 복잡한 시스템 개발에 적합하다. 안정성이 높고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호환성이 좋음 개발 생산성이 높으며 빠른 개발이 가능하다. 자바의 단점 실행 속도가 느릴 수 있다. 런타임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2.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개념과 원칙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개념 객체들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는것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처..

Basic/코딩기초 2023.03.22

[코딩기초] 의사코드(pseudo code)

의사코드(pseudo code)란?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이 수행해야 할 내용을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로 간략히 서술해 놓은 것을 말한다.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없으며,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따라 쓰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언어로 코드를 흉내 내어 알고리즘을 써놓은 코드를 의미한다. 1. 의사코드를 사용하는 이유? 의사코드는 코딩 입력을 시작하기 전, 사고를 좀 더 명확하게 정립하게 만들어주어 프로그램 설계, 이해에 도움이 된다. 코드 검토가 더 쉬워진다. 코드 수정을 좀 더 용이하게 만들어준다.(유지보수가 쉬워진다.) 코멘트 작성에 대한 부담을 덜어준다. 알고리즘이 어떻게 실행되고 결과가 어떻게 나오게 되는지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사람과 협업할 때 프로그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써..

Basic/코딩기초 2023.03.13

[코딩기초] SSR vs CSR

1. MPA vs SPA MPA(Multi Page Application) 여러 페이지로 구성된 웹 어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의 클릭과 같이 인터렉션이 발생할 때마다 새로운 Html을 받아와서 해당 링크로 이동하여 페이지 전체를 새로 렌더링하는 웹 페이지 구성 방식이다. 첫 로딩이 짧고 서버 렌더링에 따른 부하가 걸릴 수 있다. SPA(Single Page Application)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된 웹 어플리케이션이다. 최초에 한번 페이지 전체를 로드하고, 이후부터는 특정 부분만 데이터를 바인딩하는 방식이다. 사용자 경험이 자연스럽고, 컴포넌트별 개발이 용이하다. 보안 이슈가 있을 수 있다. 2. SSR vs CSR SSR(Server Side Rendering) MPA의 방식이다. 검색엔진이 웹을 크..

Basic/코딩기초 2023.02.22

[객체지향]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1. 객체? 객체란 프로그램 동작의 주체가 되는 요소를 의미한다. 객체는 유형(존재하는 것)과 무형(존재하지 않는것)을 가리지 않고, 상태와 동작을 가진다. 예를들어, TV르르 구매한다고 하면, TV의 디자인, 성능, 가격등을 고려하여 TV를 구매할 것이다. TV의 색, 인치, 가격 등은 TV가 가진 상태라고 볼 수 있다. TV의 채널 이동, 다시 보기등은 TV의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모든 객체에는 상태와 동작이 존재한다. 2.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 객체들을 통해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론이라고 정의한다. 모든 객체는 각 객체의 특성에 부합하는 상태와 동작을 가지며, 이를 통해 객체 간의 상호작용 코드를 나타낼 수 있다. Java는 String, ..

Basic/코딩기초 2023.02.21

[코딩기초] 자료구조, 알고리즘, 운영체제

1. 자료구조(Data Structure) 데이터 값의 모임이라고 한다. 각 원소들이 논리적으로 정의된 규칙에 의해 나열되며 자료에 대한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분하여 표현한 것. 2. 자료구조를 배우는 이유?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자료구조를 사용한다. 특정한 상황에 놓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특화되어 있다. 3. 필수 자료구조 8개 배열(Array) 동일한 타입의 테이터들을 저장하며, 고정된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인덱싱이 되어 있어서 인텍스 번호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존재한다. 스택(stack) 영역의 메모리 할당이다.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 각 데이터 시퀀스가 순서를 가지고 연결된 순차적 구조이다. 동..

Basic/코딩기초 2023.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