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온프레미스(On-premise)?
: 온프레미스(On-premise)는 IT 서비스를 운영하는 회사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공간에 물리적으로 하드웨어 장비를 가지고 직접 운영하는 방식이다. 온프레미스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 일반적인 기업이 사용하던 일반적인 인프라 구축 방식이다.
온프레미스 방식은 현대에 정의되고 사용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이전 방식이기 때문에 인프라 구축하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통용되기도 한다.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입하여, 시스템 구성 상황에 맞게 환경을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서버실 혹은 데이터 센터와 같이 특정 공간에 IT인트라를 구축하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법은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기간이 필요하며, 상황에 따라서는 몇 개월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 또한 시스템 구축하기 위한 물리적인 하드웨어 장비를 구매하는 비용이 들어가며, 이를 관리 및 운용을 위한 유지보수 비용이 필요하다.
2. 클라우드(Cloud)?
: 클라우드(Cloud)는 광대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가상화된 서버와 서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IT환경을 의미한다.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인터넷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에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등이 존재한다.
먼저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는 기술적인 방법이다. 이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자원을 가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SaaS(Soft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기반 서비스), PaaS(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 기반 서비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 기반 서비스) 등이 있다.
3. 온프레미스의 장, 단점?
- 온프레미스의 장점
- 인터넷 없이 작동 : 인터넷 연결에 관계없이 언제든지 액세스 할 수 있는 내부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 인터넷 비용 절감 : 인터넷이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에 의존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고속연결에 대해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 강력한 보안 제공 : 온프레미스 서버는 데이터를 온라인에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 외부에 있는 서버에 액세스 할 수 없다.
- 서버 하드웨어에 대한 제어 제공 : 간단하게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 인터넷 없이 작동 : 인터넷 연결에 관계없이 언제든지 액세스 할 수 있는 내부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 온프레미스의 단점
- 추가 IT지원 필요 : 온프레미스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서버를 유지하고 관리할 IT 직원도 있어야 한다.
- 산업 규정 준수 : 금융, 의료와 같은 규제 산업 내에서 운영되는 경우 관리 구정을 준수할 책임은 서버 및 온프레미스 스토리지의 소유자이자 운영자이므로 회사에 전적으로 있다.
- 유지 관리 비용 증가 : 서버 및 기타 하드웨어를 구입하는 데 필요한 초기 자본 투자와 함께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거나 수리하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라이선스를 계속 구입해야 한다.
- 데이터 손실 위험 증가 : 온프레미스 스토리지를 사용하면 시스템의 오작동이나 해킹, 바이러스로 손상된 시스템으로 인해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손실될 수 있다.
- 회사의 확장 능력 제한 : 회사가 확장되어 더 많은 스토리지 공간이나 기타 기능이 필요한 경우 온프레미스 서버를 빠르게 확장하기가 더 어렵다.
- 추가 IT지원 필요 : 온프레미스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서버를 유지하고 관리할 IT 직원도 있어야 한다.
4. 클라우드의 장, 단점?
- 클라우드의 장점
- 경제성 :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비용이 더 낮다. 라이선스 비용을 선불로 지불하는 대신 월 비용이 저렴해진다.
- 배포 용이성 :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가 긴 설치 프로세스 없이 빠르게 배포할 수 있는 점이다.
- 관리 서비스 : 소프트웨어를 호스팅 하거나 하드웨어를 직접 구매하는 대신 고객은 외부에서 모든 것을 처리하는 공급업체와 협력하여 직원을 확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클라우드의 단점
- 장기 비용 :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의 한 가지 단점은 장기적으로 볼 때 회사가 처음부터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했을 때보다 구독 비용이 더 많이 들 수 있다. 최신버전의 소프트웨어에 의존하지 않는 경우 특히 더 그렇다.
- 유연성 저하 : 클라우드를 통해 회사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공급자는 종종 광범위하게 사용자 정의할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하지 않는다. 고객이 수행하는 모든 작업에 대한 편리한 서비스를 받지 못할 수 있다.
- 보안 문제 :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영향을 미치는 보안 문제와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소프트 웨어에도 비슷한 보안 문제가 있더. 보안이 향상되었지만 클라우드는 이러한 온라인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려는 외부 세력에 의해 여전히 해킹될 수 있다.
- 장기 비용 :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의 한 가지 단점은 장기적으로 볼 때 회사가 처음부터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했을 때보다 구독 비용이 더 많이 들 수 있다. 최신버전의 소프트웨어에 의존하지 않는 경우 특히 더 그렇다.
5.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의 주요 차이점
- 배포
- 온프레미스 : 사내 및 기업의 IT인프라에 리소스가 배포된다. 기업에서 솔루션 및 모든 프로세스를 유지 관리할 책임이 있다.
- 클라우드 : 리소스가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호스팅된다. 기업에서는 해당 리소스에 액세스하여 언제든지 원하는 만큼 사용할 수 있다.
- 온프레미스 : 사내 및 기업의 IT인프라에 리소스가 배포된다. 기업에서 솔루션 및 모든 프로세스를 유지 관리할 책임이 있다.
- 비용
- 온프레미스 : 서버 하드웨어, 전력 소비 및 공간에 대한 지속적인 비용을 부담한다.
- 클라우드 : 유지 관리 비용없이 사용한 리소스에 대한 비용만 지불하면 된다.
- 온프레미스 : 서버 하드웨어, 전력 소비 및 공간에 대한 지속적인 비용을 부담한다.
- 보안
- 온프레미스 : 정부 및 은행 업계와 같이 민감한 정보를 많이 보유한 기업은 온프레미스 환경이 제공하는 일정 수준의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기능을 갖춰야한다. 클라우드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보안은 많은 산업에서 가장 큰 관심사이므로 일부 단점과 가격 부담에도 불구하고 온프레미스 환경이 더 합리적이다.
- 클라우드 : 클라우드 컴퓨팅 배포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이다. 클라우드 보안 침해가 공개적으로 많이 발생했다.
- 온프레미스 : 정부 및 은행 업계와 같이 민감한 정보를 많이 보유한 기업은 온프레미스 환경이 제공하는 일정 수준의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기능을 갖춰야한다. 클라우드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보안은 많은 산업에서 가장 큰 관심사이므로 일부 단점과 가격 부담에도 불구하고 온프레미스 환경이 더 합리적이다.
'Basic > 코딩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기초] nGrinder를 이용한 부하 테스트 (0) | 2023.07.22 |
---|---|
[코딩기초] 무한스크롤 VS 페이지네이션 (0) | 2023.07.18 |
[Redis] 서버운영과 Redis (0) | 2023.05.04 |
[Cloud] Cloud? (0) | 2023.03.23 |
[HTTP] HTTP기초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