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pring 9

[Spring Web Flux] Reactive programming

1. 리액티브 시스템(Reactive System) 클라이언트 요청에 반응을 잘 하는 시스템 리액티브 시스템의 특징 Means Means는 리액티브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커뮤니티 수단을 의미한다. Message Driven : 메세지 기반 통신을 통해 여러 시스템간의 느슨한 결합을 유지한다. Form Form은 메시지 기반 통신을 통해 리액티브 시스템이 어떤 특성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는지 의미한다. Elastic : 시스템으로 들어오는 요청량이 적거나 많거나 상관없이 일정한 응답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Resillient : 시스템의 일부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고 응답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Value 리액티브 시스템의 핵심 가지가 무엇인지를 표현하는 영역이다. Responsive : 리액티브 ..

JAVA/Spring 2022.11.30

[SPRING]Spring Framework

1. Spring Framework의 장점? POJO(Plan Old Java Object)기반의 구성 DI(Dependency Injection)지원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 관점지향 프로그래밍)지원 JAVA언어 사용 개발 생산성 향상 시키고 앨플리케이션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2. POJO? IoC/DI, AOP, PSA 의 핵심 개념이 있다. Java로 생성하는 순수한 객체지향 프록그래밍이다. POJO 프로그래밍? Java나 Java스펙에 정의된 것 이외에는 다른 기술이나 규약에 얽메이지 않아야 한다. 특정횐경에 종속적이지 않아야 한다. POJO 프로그래밍이 필요한 이유 1. 특정 환경이나 기술에 종속적이지 않으면 재사용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유연한 코드를 ..

JAVA/Spring 202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