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AWS DynamoDB
- 완전 관리형 NoSQL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로서 원활한 확장성과 함께 빠르고 예측 가능한 성능을 제공
- 서버리스이므로, 따로 유지비용 없이 사용한 만큼 지불
- 보조 인덱스를 통한 빠른 조회를 지원
- NoSQL 특성상 관계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찾기에는 인덱싱이 없으면 속도가 느려지지만 그 부분을 해결해 준다.
- NoSQL 특성상 관계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찾기에는 인덱싱이 없으면 속도가 느려지지만 그 부분을 해결해 준다.
- 서버리스(Lambda) 서버와 궁합이 좋다.
2. AWS Elasticache
- 클라우드에서 분산된 인 메모리 데이터 스토어 또는 캐시 환경을 손쉽게 설정, 관리 및 확장할 수 있는 웹 서비스
- Redis와 Memcached를 지원
- 캐시 노드 실패에서 자동 감지 및 복구
- Redis와 비슷한 프로그램
사용 예시
: 캐싱, 세션 스토어, Ai ML 모델, 실시간성이 높은 작업
3. 현업에서 메로리에 있는 캐시 데이터와 DB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주기나 전략?
- 메모리 DB는 지금 당장 껐다 켜도 문제가 없어야 한다.
- 메모리 DB는 메인 DB로 사용할 수 없다.
- 메인 DB는 RDBS가 되어야 한다.
4. RDS를 사용하여 고가용성과 확장성
- 오토스케일링을 이용하는 것인데 정말 예측이 불가하면 AWS Aurora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 읽는 것과 쓰는 것의 밸런스를 맞춰서 사용하는 것이 맞다.
5. 왜 이 정도 사양의 서버를 사용하는가?
- 서버를 사용하는 데에 70%를 유지하는 게 효율적인 서버, 서버가 튀고 DB가 튀는 것은 좋지 않은 서버이다.
- DB는 확장이 힘들기 때문에 DB에 대한 트래픽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은 것이다.(Redis, Batch를 통한 업데이트 등)
'Basic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의 서비스(3) (0) | 2023.05.11 |
---|---|
[AWS] AWS의 서비스(2) (0) | 2023.05.08 |
[AWS]AWS와 AWS의 서비스(1) (0) | 2023.05.05 |